티스토리 뷰

1.5 꼭 알아둬야 할 다섯가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1) 우분투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HDD)또는 구간(Partition)이름이 다르다.

MS 윈도우의 C드라이브가 리눅스에서는 sda1 또는 hda1으로 D드라이브는 sdb1또는 hdb1으로 다른 이름으로 불립니다. 만약 C드라이브가 2개로 구간으로 나뉘어 있다면 우분투에서는 sda1sda2 또는 hda1hda2로 보입니다.

HDD 이름에는 간단한 법칙이 있습니다. sh냐의 차이는 HDD를 읽고 쓰는 방법의 차이입니다. SATA방식은 s, IDE방식은 h로 시작합니다. 그 다음 ddisk를 의미합니다. 이 뒤에 a, b는 첫번째 HDDa, 두번째 HDDb, 이런 식입니다. 세번째 HDDc가 되겠지요.

컴퓨터 사용자 중에는 HDD 하나를 몇 개의 구간(partition)으로 나눠 쓰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100GB용량 HDD를 한 구간은 30GB, 다른 한 구간은 70GB로 나누어 30GB에는 MS윈도우를 70GB에는 온갖 자료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윈도우에 문제가 생겼을 때 30GB공간에만 윈도우를 재설치하면 되고 자료는 안전하게 보존 가능합니다.)

이 처럼 구간으로 나뉘어져 있을 때 MS윈도우는 C드라이브와 D드라이브로 이름을 붙여 물리적으로 2HDD를 갖고 있는 것과 똑같이 표시 하지만 리눅스는 구간에 번호를 붙여줍니다. 즉 이 경우에는 12를 붙여주겠지요.

2)
리눅스는 HDD를 최소한 2개 구간으로 나눠야 한다.

나누지 않으면 불편하겠지만 MS윈도우는 HDD 구간을 둘로 나누지 않아도 됩니다. 리눅스는 HDD를 최소한 2개 구간으로 나눠줘야 합니다. 리눅스에서는 모든 프로그램과 자료가 설치되는 '/' (루트)와 가상 메모리 공간인 '/SWAP' (스왑) 2개 구간으로 나눠줘야 합니다.

더 나은 성능발휘를 위해서는 리눅스를 더 여러 구간으로 나눠줄 수도 있습니다만, 2개로만 나눠도 사용에 큰 문제는 없습니다. 만약 잘게 나누겠다면...

처음 설치하는 분들은 판을 복잡하게 나누기 보다는 기본적인 //swap 2개로 시작하셔도 됩니다.
4
개로 나눌 경우 /5~10GB, /swap은 메모리의 1.5~2, /boot128MB미만, 나머지는 /home에 배정하는 것을 권합니다. 6개로 나눌경우 4개로 나눌 때와 동일하나 추가로 /var/usr에 각각 3~4GB 정도 할당해 주고 나머지를 /home에 주시면 됩니다.

3)
리눅스에도 각종 기능성 폴더가 있다.

리눅스에는 여러가지 폴더가 있는데 그것을 사용자가 다 알아두거나 외울 필요는 없습니다. 다만 알아두면 편리한 몇 가지.

/home
은 사용자의 모든 파일이 저장되는 공간으로 MS윈도우의 '내 문서(My documents)'폴더와 유사합니다. 우분투에서는 '홈폴더'라고 부릅니다. 각종 문서, 사진, 동영상, 음악 등등이 저장되며 각종 프로그램관련 설정 파일도 '안보이는 파일'로 이곳에 저장됩니다.

/boot
는 리눅스의 핵심 커널이 들어있어 매번 컴퓨터를 켜면 여기부터 읽기 시작합니다. 우분투와 MS윈도우 중 선택 부팅을 가능하게 해주는 GRUB가 이 속에 있습니다.

/var
는 컴퓨터가 운영되면서 발생하는 파일들이 저장되는 공간입니다. 각종 로그(/var/log), 주고받은 이메일(/var/mail), 인쇄대기자료(/var/spool)가 여기에 저장됐다가 지워집니다.

/usr
은 사용자 설정이 들어있는 공간으로 MS윈도우의 'Documents and settings' 폴더와 거의 같은 임무를 수행합니다. /usr/bin에는 우분투에 설치된 각종 프로그램의 실행파일이 들어있습니다.

4)
터미널은 우분투를 다루는데 있어 중요한 도구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터미널은 리눅스에서 문자로 명령을 내리는 도구입니다. 터미널은 콘솔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오래 전에 컴퓨터를 사용해 DOS를 아시는 분들은 터미널을 이해하기도 쉬울 것입니다. 다만 DOS는 컴퓨터 내에서만 유효한 명령을 내리지만 리눅스의 터미널은 인터넷과 연결돼 마치 한 몸처럼 움직이도록 해줍니다.

필요한 파일을 설치하라고 터미널에서 명령을 내리면 인터넷에서 금방 받아다 설치하는 것은 DOS와 터미널 사이의 엄청난 차이점 중 하나 일 것입니다. 우분투의 모든 부분을 터미널 조작으로 바꿔놓을 수 있습니다.

아이콘을 눌러 명령을 실행하는 그림명령방식(Graphic User Interface: GUI)에 익숙한 분들에게 키보드로 명령을 내리는 명령어입력방식(Command Line Interface: CLI)은 생소할 수 있습니다만, 터미널을 완벽히 다룬다면 리눅스를 완벽히 다룬다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원활한 설정을 위해서는 터미널을 실행시키고 제시된 명령어를 복사해 붙이는 정도의 능력만 있어도 됩니다.

어떤 분들을 터미널 명령어로만 구성된 설치 목록을 작성합니다.
즉 자기 컴퓨터 설정을 전적으로 터미널로만 하고, 그 때 터미널에 입력한 내용들을 문서로 저장해 두었다가 그대로 설치할 때 이용하는 것입니다.

5)
인터넷과 연결은 기본이다.

인터넷과 연결 안된 상태로 우분투를 제대로 설치할 수는 없습니다.
한글이 제대로 설치 되지 않는 등 문제가 생깁니다. 따라서 우분투 설치시 인터넷이 안정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하실 것을 권합니다. 인터넷을 연결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설치는 가능하나 프로그램이 반편이 설치되거나 설치중 장시간 멈춰 있는 등 초보입장에서는 헤메는 길로 들어서는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인터넷을 무선으로 연결한 상태보다는 유선으로 연결한 보다 안정적인 상태를 강력하게 권합니다.

인터넷 연결이 필요한 이유는 우분투는 저장소(repositories)라고 부르는 인터넷상의 한 장소에서 프로그램을 작동하는데 필수적인 구성 프로그램들을 받아오기 때문입니다.

MS
윈도우의 '윈도우 업데이트'와 유사합니다만 차이점은 윈도우 업데이트는 MS사 한 곳에서 관리하는 서버에서 받지만 우분투의 저장소는 여러 곳이 있고 여러 조직이나 개인이 관리하고 있습니다. 또한 우분투의 저장소는 우분투 시스템 자체 외에도 여러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면 저장소에서는 성경책이나 꾸란(이슬람 경전) 프로그램부터 각종 게임, 그래픽 프로그램을 받아올 수 있습니다. 이 결과 우분투 사용자는 MS윈도우 사용자처럼 프로그램들을 찾아 다닐 필요가 '거의' 없습니다. 프로그램 목록을 보고 고르면 설치가 됩니다.

컴퓨터가 찾아갈 저장소 주소 목록은 우리 컴퓨터에 설치돼 있습니다. 바로 /etc/apt/source.list 입니다. 그러나 이런 위치를 몰라도 우분투에서는 쉽게 저장소 주소를 고치거나 더 할 수 있는 손쉬운 방법이 있습니다. [시스템]-[관리]-[소프트웨어 소스] 에서 주소목록 추가, 또는 이용하는 저장소 변경이 가능합니다.

'우분투 설명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1.7 우분투에서 프로그램 설치와 제거  (2) 2007.11.16
1.6 우분투로 자료 옮기기  (1) 2007.11.16
1.4 기본 설치 프로그램 소개  (0) 2007.11.16
1.3 판(Version)과 별명  (4) 2007.11.16
1.2 배포판이란?  (0) 2007.11.16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   2024/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