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사무실을 칸막이로 나눠놓은 것을 보신 분들이 있으실 것입니다.
칸막이로 공간을 나누는 것을 영어에서는 파티셔닝(Partitioning)라고 부르고 그 칸막이를 파티션(partition)이라고 부릅니다.
파티션으로 파티셔닝을 하는 이유는 부서를 구분하거나 사원들의 작업실 영역을 구분해 업무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입니다.

설명서 작성자는 파티셔닝을 '판나눔' 파티션을 '판'으로 부르고 있습니다.

사무실 공간 나누기 개념이 동일하게 컴퓨터의 저장장치, 특히 하드디스크드라이브(HDD)에서 쓰입니다.
목적도 똑같습니다. 기능별로 공간을 나눠서 효과적으로 쓰기 위한 것입니다.
예를 들어 100GB크게 HDD를 30GB와 70GB 판으로 나눠 30GB에는 운영체제와 프로그램을 70GB에는 온갖 자료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만약 최근에 설치한 프로그램이 큰 문제를 일으킨다면 30GB판에 있는 운영체제와 프로그램만 손보아주면 됩니다. 70GB판에 쌓인 자료는 다른 판에 있는 것이기 때문에 무사히 보관할 수 있습니다.

HDD 판나누기는 잘못하면 모든 자료를 잃어버릴 수 있으므로 개념이해와 주의가 필요합니다.


'Guided'를 선택할 경우  HDD의 빈 공간에 우분투를 설치해 줍니다. 우분투와 MS윈도우를 함께 쓸 계획이라면 이 방식을 권합니다.
'자동'은 빈 HDD 하나에 통째로 설치하는 것입니다. * 주의! 해당 HDD에 있는 모든 자료가 지워집니다.
'수동으로' 설치할 경우 자신이 원하는 대로 HDD와 판을 나눠 쓸 수 있습니다. 반드시 아래 내용의 이해한 후 작업하시기 바랍니다.
*주의! 수동 작업시 HDD에 모든 자료가 지워질 수도 있습니다.

1) 우분투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HDD)와 공간(Partition)이름
먼저 장치(Device) 이름 부터 설명을 합니다. 우분투(리눅스)는 각 공간과 도구마다 일정한 법칙에 따라 이름을 정해 줍니다.
첫 번째(master)  HDD의 첫 번째 판 이름은 sda1 또는 hda1입니다. 만약 첫 번째 HDD가 두 번째 판을 갖고 있다면 이 판은 sda2 또는 hda2 란 이름을 갖게 됩니다.
두 번째(slave) HDD의 첫 번째 판 이름은 sdb1 또는 hdb1 입니다. 만약 두 번째 HDD가 두 번째 판을 갖고 있다면 이 판은 sdb2 또는 hab2 란 이름으로 불리니다.

판이름정하기에는  아래와 같은 법칙이 있습니다.

sda1...먼저 앞에 s냐 h냐의 차이는 HDD를 읽고 쓰는 방법의 차이입니다.  SCSI방식은 s,  IDE방식은 h로 시작합니다.
sda1...그 다음 d는 간단히 disk를 의미합니다.
sda1...첫 번째 HDD는 a, 두 번째 HDD는 b,  세 번째 HDD는 c 입니다.
sda1...번호는 판을 의미합니다.  HDD의 첫 번째 판은 1, 두 번째 판은 2가 됩니다.

MS윈도는  판마다 '드라이브'를 붙여 부릅니다. 우분투의 sda1은 C:드라이브, sda2 또는 sdb1은  D: 드라이브가 됩니다.  

2) 판의 이름을 용도(mount point)에 따라 부른다.

sda1이나 sda2 같은 장치(device)에 따른 이름도 있지만 용도(mount point)에 따른 이름도 붙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청와대'는 건물 이름, 그 안에 '대통령 비서실'은 용도에 따른 이름입니다.
청와대는 움직일 수 없는 건물 그 자체 이름이지만 비서실은 건물 안에 화장실 옆방이든 대통령 집무실 건너방이든 어디든 용도에 따라 배치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sda1이나 sdb1은 건물 그 자체로 변할 수 없는 이름이지만 이 것을 어떤 용도에 쓰느냐에 따라 다른 이름을 붙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나는 sda1에 주요기능을 다 놓겠다면 이를 루트(/)란 용도로 정해주면 됩니다. sda2에 문서 등 모든 자료를 놓겠다면 /home이란 용도명을 붙여 주면 됩니다.

3) 공간을 어떻게 읽고 쓰는지에 따라 방식(type)가 차이난다.

각 운영체제(OS)마다 HDD를 어떻게 읽고 쓸 것인지 다루는 방식의 차이가 납니다.
우분투에서는 흔히 ext3 방식을 사용합니다.  MS윈도우는 NTFS 방식을 씁니다.  (이전에 읽고 쓰는 방식으로 FAT도 있습니다.)
우분투 7.10 부터는 별다른 추가 프로그램 설치 없이도 NTFS방식이나 FAT방식으로 쓰여진 HDD 또는 공간을 읽고 쓸 수 있습니다.

4) 리눅스는 HDD를 최소한 2개 용도에 따른 공간으로 나눠야 한다.

우분투 또는 리눅스는 HDD를 최소한 모든 프로그램이 설치되는 '/' (루트)와 가상 메모리 공간인 '/SWAP' (스왑) 2개 공간으로 나눠줘야 합니다.

스왑(swap)이란 기억장치(memory) 용량이 충분치 않을 경우 HDD가 기억장치 흉내를 내도록 하는 것입니다.    

더 나은 성능발휘를 위해서는 용도에 따라 더 많은  공간으로 나눠줄 수도 있습니다만,  처음 설치하는 분들은 /와 /swap 둘로 나눠 설치하셔도 됩니다.
만약 4개로 나눌 경우 /는 5~10GB, /swap은 메모리의 1.5~2배, /boot는 128MB미만, 나머지는 /home에 배정하는 것을 권합니다.
6개로 나눌경우 4개로 나눌 때와 동일하나 추가로 /var과 /usr에 각각 3~4GB 정도 할당해 주고 나머지를 /home에 주시면 됩니다.

  • /home은 사용자의 모든 파일이 저장되는 공간으로 MS윈도우의 '내 문서(My documents)'폴더와 유사합니다. 우분투에서는 '홈폴더'라고 부릅니다. 각종 문서, 사진, 동영상, 음악 등등이 저장되며 각종 프로그램관련 설정 파일도 '안보이는 파일'로 이곳에 저장됩니다.
  • /boot는 리눅스의 핵심 커널이 들어있어 매번 컴퓨터를 켜면 여기부터 읽기 시작합니다. 우분투와 MS윈도우 중 선택 부팅을 가능하게 해주는 GRUB가 이 속에 있습니다.
  • /var는 컴퓨터가 운영되면서 발생하는 파일들이 저장되는 공간입니다. 각종 로그(/var/log), 주고받은 이메일(/var/mail), 인쇄대기자료(/var/spool)가 여기에 저장됐다가 지워집니다.
  • /usr은 사용자 설정이 들어있는 공간으로 MS윈도우의 'Documents and settings' 폴더와 거의 같은 임무를 수행합니다. /usr/bin에는 우분투에 설치된 각종 프로그램의 실행파일이 들어있습니다.
설명서 처음으로 돌아가기

설명서 다음 장으로 넘어가기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   2024/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