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상과 의자 사용법은 한 번쯤은 바로 알고 가면 좋을 거 같아. 누가 가르쳐주는 일도 없는데, 알고보면 인생에 꽤 영향을 미치는 사소한 부분이지.나는 이때까지 거의 평생을 책상에서 일해왔는데, 나이를 먹으니 팔이 저린다거나 허리가 아픈 일이 잦은 거야.방법을 찾다가 아래 월스트리트 저널에서 올린 영상을 보고 가장 편안한 구성에 성공했지. 아래 동영상은 책상과 의자의 인체공학적 배치를 가르쳐 주는데, 역시 과학의 힘! 꼭 따라해봐. 업무나 공부 효율이 달라질거야.Ergonomics Expert Explains How to Set Up Your Desk | WSJ Pro Tip요약하자면:의자 높이 조정: 엉덩이를 의자 뒤쪽에 붙인 상태에서, 발바닥이 평평하게 닿도록 높이를 맞처, 허리에 적절한 지지대(허리 ..
맥에서 한∙영 전환을 쉽게 하는 방법을 찾다가 캐래비너(Karabiner)라는 무료 앱을 발견. 캐래비너는 원하는 기능을 원하는 글쇠에 할당해주는 앱. 예전 이름은 키리맵포맥북(KeyRemap4MacBook). 맥북 뿐만 아니라 아이맥, 맥미니에서도 물론 쓸 수 있음. 일단 제작자 웹사이트에서 받아서 설치. Karabiner 내려받기 다 내려받았으면, 실행, Karabiner.pkg라는 꾸러미가 뜨는데, control글쇠를 누른 상태에서 열면 질문 후 설치 과정으로 넘어감. 설치 후, 실행. 실행 화면에서, (1) ‘Korean’입력 후, (2) 애플 키보드 선택 해주면 끝. 설정 후에는, Space글쇠 우측 command 글쇠는 한영 전환, 옆에 option글쇠는 한자 전환 글쇠로 작동하게 됨.
우분투 사용시 경험할 수 있는 한글 표시/입력 문제를 다루고 해결법을 제시합니다. 일반적으로 설치과정에서 한국어와 한글 키보드를 제대로 선택해 주었을 경우 한글 입출력은 문제없이 제대로 작동할 것입니다. 그러나 ▲인터넷 접속문제, ▲키보드 설정 문제, ▲한글 표시 규칙의 차이, ▲한글입력기나 프로그램의 문제 등으로 인해 한글이 제대로 보이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1) 반편이 한글 문제 우분투는 한글 패키지 일부를 인터넷을 통해 저장소에서 받아옵니다. 따라서 처음 설치할 때 한글을 택했어도 인터넷 접속문제로 저장소에 접속하지 못할 경우, 한글 꾸러미 일부분을 받지 못해서 한글 표시가 일부분만 되고 한글 입력은 불가능한 '반편이 한글문제'를 경험하게 됩니다. 우분투가 새롭게 판올림이 되면 저장소에 대한 접..
우분투 라이브 CD로 부트 후 바탕화면에 놓인 '설치(install)' 아이콘을 누르면 7단계 설치가 시작됩니다. 1) 설치 1단계-언어선택 1단계에서는 사용하는 말글을 선택하게 됩니다. 우리말을 쓰시려면 '한국어'를 택하시면 됩니다. 라이브CD메뉴에서 한글을 선택하지 않았더라도 여기서 '한국어'를 택해주면 우리글 메뉴가 보입니다. 잠시 컴퓨터가 우리말을 어떻게 보여주나 공부해 봅시다. 컴퓨터는 우리말 문서를 여러가지 방식으로 읽습니다. 컴퓨터가 글 읽는 방식을 'character set encoding'이라고 하며 우리말로 풀면 '약속한 규칙대로 낱글자묶음 읽기' 입니다. 세상에는 한글, 알파벳, 일본어 등 여러 낱글자묶음(Character set)이 있습니다. 이런 낱글자 묵음을 컴퓨터는 '약속한 규..
- Total
- Today
- Yesterday
- Korean
- 글꼴
- 데스크탑
- 게임
- 방화벽
- 동영상
- 7.10
- 맥
- compiz-fusion
- 아이폰4
- Ubuntu Linux
- firefox
- 불여우
- 애플
- 설명서
- 한글
- 꾸미기
- 8.10
- 아이패드
- 설치
- 무른모
- 우분투
- 아이폰
- 우분투 리눅스
- 아이맥
- 터미널
- 폰트
- 8.04
- 프로그램들
- 판올림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