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디다 쓰는 앱?맥의 아이콘을 마음대로 바꿀 수 있게 해주는 앱 평가?캔디바(CandyBar) 지원 중단 이후, 각종 아이콘을 바꿀 수 있게 해주는 유일한 앱 아닐런지.게다가 무료! 사용법?실행 후 아이콘을 찾아서, 그 위에 바꾸고자하는 그림을 파인더(Finder)에서 끌어다 놓기.이후 ‘Apply Changes’ 단추를 눌러 적용해주면, 다시 로긴 후 적용된다는 안내를 보게 됨.되돌리고자 할 때는 바뀐 그림을 창 밖으로 끌어다 놓은 후, Apply Changes 단추. 주의?쓸데 없이 바꾸면 산만하기만. 가격?무료: 내려받는 곳은 여기: http://www.freemacsoft.net/liteicon/#총평자매품(?) AppCleaner도 아주 잘 쓰고 있음.컴퓨터하는 사람은 싫어하는 단어지만, 요즘 ..
컴퓨터를 오래전부터 쓰신 분은- MS DOS나 Windows 3.1을 기억하는 세대는- 자료를 자료철(Folder)별로 분류해 정리하는데 익숙할 것입니다. 반면에 비교적 새로운 개념인 꼬리표 분류 (Tag 또는 Label)에 익숙하지 않을 듯합니다. 제목의 답을 미리 드리자면 자료정리할 때는 꼬리표가 대세입니다. 새로 나온 대부분 사용자환경(OS)은 자료철 보다는 꼬리표로 자료 검색을 쉽게하도록 지원하는 형식이기 때문에, 이 개념에 따라 자료를 정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면 친구 만식이, 만돌이와 함께 밴드를 결성해 새해에 3일간 여러 곳에 공연을 뛰면서 사진 100장을 찍었습니다. 이 사진 100장을 1) 날짜별로 나눠 분류해 역사에 남길 준비를 갖춰야 하고, 2) 만식이, 만돌이, 나의 사진과..
2008/12/11 - [우분투 설명서] - [8.10] 우분투에서 홈 서버 꾸미기(1) 이어지는 글입니다. 홈 서버가 만들어졌으면 홈 서버에서 공유할 폴더를 지정해 줘야 합니다. 앞서 만든 메모에 더해봅시다. [우리집 네트워크] 네트워크 이름: urizip 네트워크에 속할 컴퓨터: mamacom (XP) 192.168.1.3 , 12:34:56:78:09:ab papacom (2000) 192.168.1.4 , ab:cd:ef:gh:ij:kl mycom, (우분투) 192.168.1.2 , mn:op:qr:st:uv:12 -서버 sistercom (비스타) 192.168.1.5 , 34:56:78:90:12:34 (총 4대) [공유할 폴더] 영화: 색.계.는 다른 폴더로 옮길 것. 사진: '아들에게 물..
사무실을 칸막이로 나눠놓은 것을 보신 분들이 있으실 것입니다. 칸막이로 공간을 나누는 것을 영어에서는 파티셔닝(Partitioning)라고 부르고 그 칸막이를 파티션(partition)이라고 부릅니다. 파티션으로 파티셔닝을 하는 이유는 부서를 구분하거나 사원들의 작업실 영역을 구분해 업무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입니다. 설명서 작성자는 파티셔닝을 '판나눔' 파티션을 '판'으로 부르고 있습니다. 사무실 공간 나누기 개념이 동일하게 컴퓨터의 저장장치, 특히 하드디스크드라이브(HDD)에서 쓰입니다. 목적도 똑같습니다. 기능별로 공간을 나눠서 효과적으로 쓰기 위한 것입니다. 예를 들어 100GB크게 HDD를 30GB와 70GB 판으로 나눠 30GB에는 운영체제와 프로그램을 70GB에는 온갖 자료를 저장할 수 있습니..
- Total
- Today
- Yesterday
- 판올림
- 방화벽
- 우분투
- 아이맥
- 터미널
- 글꼴
- 아이폰4
- 애플
- compiz-fusion
- 게임
- 맥
- 설치
- firefox
- 아이폰
- 꾸미기
- 8.04
- Korean
- 동영상
- 한글
- 폰트
- 무른모
- 프로그램들
- 8.10
- 7.10
- 우분투 리눅스
- Ubuntu Linux
- 불여우
- 아이패드
- 데스크탑
- 설명서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