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꼴은 크게 트루타입(TTF)와 오픈타입(OTF)으로 나뉘어 배포된다. # 먼저 결론부터 보자면,1. 한 종류의 글꼴이라면 트루타입이나 오픈타입 중 하나만 설치하면 된다. 2. 맥에서는 일반적으로 오픈타입을 쓴다. 3. 리눅스, 윈도에서는 트루타입을 일반적으로 쓴다. # 오픈타입이 더 신형오픈타입은 어도비와 마이크로소프트가 1990년대에, 트루타입은 오픈타입보다 앞서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가 1980년대에 만들고 다듬은 글꼴 체계다. 일반적으로 트루타입은 화면용 글꼴, 더 뒤에 만들어진 오픈타입은 화면+출판용으로 많이 쓴다. # 일반용도에서는 작은 차이글꼴을 표시하는 데 있어 오픈타입이 트루타입보다 더 많은 정보를 바탕으로 처리하지만, 요즘 컴퓨터 성능올 보아 화면 보기나 처리속도에 큰 차이는 없다. 오픈..
영어를 가르치는 곳은 많아도, 영어 문서 제대로 쓰는 법 알려주는 곳은 별로 없더라. 특히 아직도 해외로 hwp문서를 보내는 이들을 위해…(제발 그만 보내라.) 필자는 25년 단풍나라 거주자로 매일 수십 건씩 문서 다루는 직업을 갖고 있다. 업데이트... 2024년에 8년 사이 바뀐 점이 좀 있다. 단풍나라 거주는 이제 32년차. 1. 본문은 가장 많이 쓰는 기본 글꼴을 써라. 전통 본문 글꼴은 타임스 뉴로만(Times New Roman) 으로 크기는 10포인트(pt)에서 12포인트 사이다. 일반적으로 12포인트. 세리프(serif)계로 가독성이 높고, 대부분 PC와 맥이 지원하는 영어권에 가장 많이 쓰는 오래된 글꼴(1930년대산)이다. 타임스 뉴로만 대신 조지아(Georgia) 글꼴을 쓸 때도 있다...
앞으로 몇 가지 '지혜 모으기' 차원에서 공개 질문을 하고, 여기에 지식과 지혜를 모아 혹시 쓸지는 모르겠지만 '차기 우분투 설명서'를 만들 때 반영할까 합니다. 여러분의 지혜를 미리 모아봤으면해서 방문하시는 분께 부탁드립니다. 그래서 첫 번째 질문은 쉬운 것으로 정해봤습니다. 우분투에 어울리는 무료배포 글꼴은? 인터넷상에 무료배포중인 예쁜 우리 글꼴을 댓글로 소개해 주세요. 제가 현재 사용하는 글꼴들은 모두 우분투 설명서에서 밝힌 것들입니다. 네이버 사전체 아리따 2.0 조선일보체 한겨레 결체 여기에 추가로 방문자 분들이 사용하시는 글꼴 한 두개 정도 소개를 해 주시거나 좋은 글꼴을 추천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불여우
- compiz-fusion
- 터미널
- 아이패드
- 판올림
- 게임
- 꾸미기
- 맥
- 글꼴
- 폰트
- 한글
- 아이폰
- 7.10
- 우분투
- 애플
- 프로그램들
- 무른모
- 8.04
- 데스크탑
- 방화벽
- Korean
- 8.10
- firefox
- 아이폰4
- 우분투 리눅스
- 아이맥
- Ubuntu Linux
- 설치
- 설명서
- 동영상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